*해당 만화는 제한된 소재로 제작되어 내용이나 의상&배경 등이 고증과 다를 수 있습니다.
백성들을 사랑한 세종대왕은 그들의 소리를 듣고 싶어 했습니다. 그러나 당시 조선은 우리 말과 다른 한자를 표기에 사용하고 있었고, 한자는 배우기 어려워 백성들에게 널리 보급되지 못했습니다. 이러한 상황을 안타까워한 세종대왕은 백성들이 쉽게 익힐 수 있는 글자를 직접 만들기로 결심합니다.
1443년, 세종대왕은 각종 언어와 음운학에 대한 탐독과 공부를 통해 인간의 발성 기관을 본 딴 소리 글자, 훈민정음을 창제합니다. 훈민정음(訓民正音)은 ‘백성을 가르치는 바른 소리’라는 뜻으로 글자의 창제 이유가 그 이름에 그대로 녹아있다고 볼 수 있습니다. 1446년, 훈민정음과 그 창제목적, 원리, 사용 방법 등을 상세히 설명한 훈민정음 해례본(訓民正音 解例本)이 함께 반포되었습니다.
훈민정음의 반포는 수월했을까요? 엄청난 반대가 있었습니다. 많은 신하들은 백성들이 한글을 배우면 양반의 권력이 약화될까봐 두려워했고, 또 다른 신하들은 독자적인 글자를 만드는 일이 대국인 중국과의 외교 문제로 번질 것을 염려했습니다. 조선 최고의 수재들만 모이는 집현전의 학자들도 새로운 글자에 거부감을 비추었는데 그들 중 누구도 방대한 지식과 뛰어난 언변을 지닌 세종대왕과의 토론에서 이기지 못했습니다. 세종대왕은 다른 사안에 대해서는 비교적 너그러운 임금이었는데 훈민정음 반포에 관해서는 신하들에게 훨씬 강경한 모습을 보였습니다.
반포 이후, 조선에서 하급 관리 시험에 훈민정음이 추가되었으며 민간과 조정의 일부 문서에서 훈민정음을 사용하였습니다. 그렇게 훈민정음은 점점 확산되어 모든 조선 백성들이 사용하는 글자가 되었습니다. 그리고 오늘날, 세종대왕은 여러 업적과 더불어 *한글 창제라는 눈부신 업적으로 최고의 위인 중 한 명이자 성군으로 기억되고 있습니다.
*훈민정음은 한글의 첫이름이자 옛이름으로, ‘한글’이라는 이름은 조선말 국문학자인 주시경에 의해 지어졌다.
출처 - 투닝 GPT, 《조선왕조실록》-세종실록 102권, 세종 25년, 훈민정음을 창제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