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비스 소개
home

"이순신,단 13척의 배로 왜군 수백 척에 맞서 싸워 이기다.”

*해당 만화는 제한된 소재로 제작되어 내용이나 의상&배경 등이 고증과 다를 수 있습니다.
명량해전 직전까지 이순신이 확보한 수군은 전선 13척과 초탐선 32척이 전부였고, 실제 해전을 감당할 수 있는 것은 13척의 전선뿐이었습니다.이순신은전전선선을 인계받은 이후에도 꾸준히 병력을 수습한 것으로 보이나, 병력 역시 결코 여유로운 편이 아니었습니다. 아울러 100여 척의 피난선 및 어선이 있기는 했지만, 실제 전투에는 큰 도움이 되지 않았습니다이순신신은은 전선을 거느리고 싸움터에 나가면서, 100여 척의 피난선은 후방에 배치하여 성세(聲勢)를 돋우는 데 이용하였습니다. 반면 일본 수군은 200~300여 척이었던 것으로 보이지만, 명량해협의 빠른 조류 때문에 전군을 한 번에 투입할 수가 없었습니다. 조선 수군이 우수영 앞바다로 나오자, 일본 수군은 압도적인 수적 우위를 바탕으로 조선 수군을 여러 겹으로 에워쌌습니다. 이순신의 대장선은 선두에 서서 각종 총통(銃筒)과 화살을 마구 쏘아 대면서 일본 수군을 공격하였고, 대장선보다 높이가 낮고 크기가 작은 일본 군선들은 이순신의 대장선에 접근하지 못한 채 나왔다 물러갔다를 반복하였습니다. 적에게 몇 겹으로 둘러싸여 어찌될지 알 수 없는 상황에서, 이순신은 “적선이 비록 많다 해도 우리 배를 바로 침범하지 못할 것이니 조금도 마음 흔들리지 말고 더욱 심력을 다해서 적을 쏘아라.”라고 부하들을 격려하면서 적과 싸웠습니다. 이순신은 자신이 탄 대장선을 접근시켜 안위의 배를 공격하던 일본 전함들에 총통과 화살을 마구 쏘았고, 3척에 탄 적이 거의 다 쓰러질 지경에 이르렀을 때 녹도만호(鹿島萬戶) 송여종(宋汝悰)과 평산포대장(平山浦代將) 정응두(丁應斗)의 배가 잇달아 와서 함께 공격하니 안위를 공격하던 적군은 전멸하였습니다. 이렇게 격전이 이어지는 도중 조류의 방향이 남동쪽으로 바뀌어, 이번에는 조선 수군에 유리한 흐름이 되었습니다. 조선 수군의 여러 배들은 일시에 북을 울리고 함성을 지르며 일제히 나아가 총통과 화살을 쏘며 일본 수군을 공격했고, 31척의 전함을 격파하였습니다. 이에 일본 수군은 후퇴하여 전선에서 물러나 다시는 가까이 오지 못했습니다. 이렇게 명량해전은 조선군의 대승으로 종결되었습니다.
이 전투에서 조선 수군은 전사자·부상자는 있었으나 1척의 전선도 격파되지 않는 비교적 경미한 피해만을 입었습니다. 일본 수군의 10분의 1에도 미치지 못하는 조선 수군으로서는 불가능에 가까운 승리를 거둔 것입니다. 이순신 스스로도 “이것은 실로 천행이다(此實天幸).”라고 할 만큼, 명량해전은 기적에 가까운 전투였습니다.
출처: 투닝gpt, 《난중일기(亂中日記)》- 16일 갑오 맑음, 이른 아침 망군이 들어와 알리기를 적선 무려 200여척이 명량을 거쳐 곧바로 진치고 있는 곳으로 향해 온다고 했다.
투닝 GPT를 통해 이순신 장군을 만나보세요.
투닝 에디터 또는 아래 링크를 통해 웹툰 제작도 가능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