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당 만화는 제한된 소재로 제작되어 의복이나 배경 등이 고증과 다를 수 있습니다.
3·1운동의 인물 중 가장 주목받는 사람은 ‘한국의 잔다르크’이며, ‘3·1운동의 꽃’이라 불리는 유관순 열사이다.
유관순(柳寬順)은 1902년 12월 16일 충청남도 목천군 이동면 지령리(현 천안시 병천면 용두리)의 작은 마을에서 유중권씨의 삼남이녀 중 둘째 딸로 태어났으며, 형제는 언니 계출(癸出)과 오빠 우석(愚錫), 그리고 두 동생 인석(仁錫)과 관석(冠錫)이다.
유관순은 기독교 영향을 받은 가정에서 출생하여 숙부가 선교사로 일하는 매봉교회를 다녔으며, 샤프 선교사 부인을 통해 기독교에 대한 큰 영향을 받으며 성장하였다. 매봉교회는 1901년경에 설립되었으며, 1907년 8월 국채보상운동에 동참하는 등 애국운동을 펼치자, 그 해 11월 일병(日兵)의 방화(放火)에 의해 소실되었다. 유관순의 친척인 유빈기(柳斌基, 1883~1928)는 케이블(E, M, Cable, 1874~1949)선교사와 함께 고향으로 돌아와 조병옥의 부친인 조인원(趙仁元), 유관순의 숙부인 유중무 등과 1908년 이 교회를 재건하였다.
당시 목천군 일대는 산세가 험한 곳으로 일본에 의해 해산된 군인이 활발히 활동했던 지역이었다. 유관순은 그 외에도 이 지역에서 국채보상운동과 같은 애국운동뿐만 아니라 독립군 활약상을 자주보고, 들으며 자랐다.
더구나 한번 옳다고 생각하는 일은 굽히지 않고 관철하고야마는 성격을 지닌 유관순은 이러한 성장과정을 통해 배일사상을 싹틔웠으며, 기울어가는 조국의 국권회복을 위하여 희생해야 한다는 굳은 의지와 신념을 키우게 되었다.
< 백석대학교 유관순연구소 - “유관순 열사 일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