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비스 소개
home

“영조, 탕평책을 펼쳐 왕권을 강화하다.”

*해당 만화는 제한된 소재로 제작되어 내용이나 의상&배경 등이 고증과 다를 수 있습니다.
조선 시대에는 붕당간의 격렬한 대립이 자주 발생했으며 이로 인한 갈등은 권력 숙청과 환국 정치로 이어졌습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숙종 시대에는 *탕평책이 제안되었는데, 이는 붕당 갈등을 줄이고 군주 중심의 개혁을 추진하는 정책이었습니다. 하지만, 이 정책은 숙종 시대에는 제대로 시행되지 못했고, 경종 시대를 거쳐 영조 시대에 이르러서야 본격적으로 실행되었습니다.
영조는 붕당 정치의 부정적인 측면을 극복하고자 탕평 정치를 강력히 추진했습니다. 그는 왕권을 강화하고, 붕당을 압박하며, 정치적 안정을 추구했습니다. 이를 위해 탕평 교서를 발표하고 탕평비를 세우며, 탕평파를 적극 등용했습니다. 또한 정치적으로 큰 영향력을 행사하던 *사림의 존재를 부정하고 그들을 양성하는 본거지인 서원을 정리하였으며 주요 관직의 후임자 천거권, 관리 선발권을 폐지하여 편당적인 인사를 방지하였습니다. 이러한 활동을 통해 권력을 군주에게 집중시켰습니다. 영조는 탕평책을 통해 각 붕당의 균형적인 정치 참여를 이끌어 냈고 국가 운영의 효율성을 증진시켰습니다.
탕평책은 영조-정조 시대에 비교적 성공적으로 수행되었습니다. 그러나 권력의 편당을 온전히 막지 못했고, 이후 강력한 중앙집권적 세도 정치로의 전환을 야기했다는 점에서 그 또한 온전하게 조화로운 정치 모델을 아니었습니다.
*탕평(蕩平) : 공정한 정치를 해야 통치자의 입지가 평탄하다.
*사림(士林) : 유교적 지식을 갖춘 지배층이자 선비들의 집단
출처 - 투닝 GPT, 《조선왕조실록》-영조실록,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영조>
투닝 GPT를 통해 영조를 만나보세요.
투닝 에디터 또는 아래 링크를 통해 웹툰 제작도 가능합니다!